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aws lightsail
- textarea autosize
- 투포인터
- tailwindcss
- react
- JavaScript
- 슬라이딩윈도우
- 알고리즘
- 스택
- react-query
- NextAuth
- Algorithm
- 버블정렬
- cookie
- typscript
- isNaN
- never타입
- next.js
- 블로그만들기
- 라이프사이클
- nestjs
- 그리디
- styled-components
- js알고리즘
- 정렬
- 빅오
- 큐
- 해쉬
- nextjs
- TypeSc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far
useRef에 타입 주기 본문
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다보면 useRef(null)을 넣었을 때 React.MutableRefObject가 나오면서 에러가 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원인을 몰라서 이것저것 넣어보다 정 안되면 타입에 any를 주고 넘어갔었다. 하지만 이번에 원인을 알게 되어 잊지 않기 위해 기록을 하고자 한다.
useRef가 받는 타입은 3가지가 있다.
// 1번
function useRef<T>(initialValue: T): MutableRefObject<T>;
// 2번
function useRef<T>(initialValue: T|null): RefObject<T>;
// 3번
function useRef<T = undefined>(): MutableRefObject<T | undefined>;
JSX에 연결할 용도라면 RefObject로 받고, 함수 안이나 ref.current 이런식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MutableRefObject로 받아야 한다.
설명을 위한 코드
const Test = () => {
const [value, setValue] = useState('');
const inputTest = useRef(null);
const onSubmit = useCallback((e: React.FormEvent<HTMLFormElement>) => {
e.preventDefault();
setValue('');
input.focus();
}, []);
return (
<div>
<form onSubmit={onSubmit}>
<input
ref={inputTest}
value={value}
/>
<button>버튼</button>
</form>
</div>
);
}
위와 같은 코드를 치면 useRef때문에 ts에러가 발생한다. 그 이유는 JSX에 사용하기 위한 타입을 받아야 하는데 useRef가 처음에 null이다가 ref={ }가 실행되면서 값이 생기기 때문에 MutableRefObject가 받아져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.
const inputTest = useRef<HTMLInputElement>(null);
해결하는 방법은 이것. JSX에서 받도록 타입을 명시해준다. 참고로 여기에서 null을 안넣어주면 또 에러가 발생하는데 위의 2번 코드가 아니라, 타입이 일치한다고 인식해서 1번의 MutableRefObject를 받아버리기 때문이다.
const mro = useRef<number>(0);
이 코드처럼 타입(number)과 값(0)이 일치하면 1번에 걸린다.
'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ypescript] File은 단순히 타입이 아니다. (0) | 2025.03.19 |
---|---|
[Typescript] Never에 대해서 (0) | 2023.03.17 |
[Typescript] Type과 Interface의 차이점 (0) | 2023.03.1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