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해쉬
- JavaScript
- NextAuth
- 정렬
- styled-components
- 슬라이딩윈도우
- tailwindcss
- textarea autosize
- typscript
- 알고리즘
- 투포인터
- 그리디
- 버블정렬
- isNaN
- nestjs
- Algorithm
- react-query
- 라이프사이클
- 큐
- aws lightsail
- react
- 스택
- TypeScript
- never타입
- nextjs
- cookie
- 빅오
- 블로그만들기
- js알고리즘
- next.j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빅오 (1)
far
알고리즘 풀기 전 알아두면 좋은 것들
1. 시간 복잡도란?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데이터 크기와 관련하여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. 이를 통해 코드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. 시간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크기(n)에 따라 알고리즘이 수행해야 하는 연산의 횟수를 나타낸다.2. 빅오 표기법시간 복잡도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. 최악의 경우 실행 시간을 표현하며, 특정 알고리즘이 대규모 데이터에서도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. O(1) - 상수 시간O(1)은 입력 데이터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 내에 실행된다. 즉, 몇 개의 데이터가 들어오든지 간에 같은 실행 시간이 걸린다. 상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단일 계산을 수행..
알고리즘/알고리즘 베이스
2024. 9. 30. 00:30